오픈소스컨설팅에서 애자일코치로 애자일, 프로젝트관리, 디자인씽킹, OKR 등의 교육, 컨설팅, 코칭을 하고 있습니다. Ph.D., SPC, SAFe Agilist, SSM, PMP, PRINCE2 Practitioner
이 자료는 Scaled Agile 사의 “The Facilitator’s Guide to SAFe®”를 참고하였다. 한글로 번역하고, 일부 내용은 삭제, 변경, 추가 하였다.
백로그에는 해야 할 작업 항목과 우선순위, 작업량 등의 정보가 들어 있다. 애자일의 특성상 작업을 수행하면서 계속 보완하고 개선해야 한다. 이 가이드는 백로그 조정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실질적인 방법을 설명한다.
애자일 팀은 진행 중인 스프린트의 목표 달성에 집중하고, 다음 계획을 스프린트 기간 중에 조정해야 한다. 이 작업을 백로그 개선(Backlog Refinement)이라고 한다. 백로그 개선을 통해 애자일 팀은 향후 작업에 대한 조정 및 이해의 공유, 작업 간의 종속성 식별, 작업 우선순위 결정 등을 수행하고, 이슈 해결을 위한 가설을 설정할 수 있다. 팀이 백로그 개선 작업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제품소유자(PO)가 리드한다.
백로그 개선은 일주일에 1~2회 또는 한 스프린트에서 한 번 이상 수행하는 것이 좋다. 백로그 개선 작업시간은 애자일 팀이 결정한다.
작업항목의 우선순위를 협의하고, 각 작업항목은 다음 스프린트에서 수행할 스토리이다. 팀 백로그에는 적정 수의 스토리가 포함되어야 있어야 하고, 각 스토리에는 리스크나 불확실한 내용이 없어야 한다. 애자일 팀은 다음 스프린트의 백로그에 충분한 스토리가 있는지 확인하고 미해결 문제나 종속성이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 백로그개선 회의에서는 다음 스프린트를 위한 스토리와 인수기준을 정의한다.
애자일 팀은 향후 스프린트를 위한 유저스토리를 준비한다. 작업 중인 기능(피처)을 출시하거나 단위 제품(PI, Program Increment)목표를 달성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 어떤 유지관리 또는 인에이블러가 필요한가? 다른 팀과의 종속성을 해결하려면 어떤 작업이 필요한가? 브레인스토밍을 수행하여 예비 스토리를 개선 또는 도출하는 시간이다. 제품책임자(PO)가 예측가능한 로드맵을 만들기 위한 수행할 작업범위와 작업량에 대한 정보를 팀으로부터 입수해야 한다.
유저스토리를 백로그에서 스프린트 계획으로 이동할 때 유저스토리의 크기가 조정되지만, 백로그개선 작업에서 유저스토리의 크기를 먼저 조정하는 것이 좋다. 애자일 팀은 자원투입 기준과 3C(Card, Conversation, Confirmation) 방법을 사용하여 각 스토리에 대해 논의한 다음 모든 스토리의 우선 순위를 지정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과 협업을 위한 물리적 또는 가상 공간을 선택하고 모든 사람이 쉽게 액세스하고 검토할 수 있는 도구에 백로그를 준비한다.
스프린트 당 최소 한 번은 백로그 개선 작업을 수행할 것을 권장하지만 애자일 팀의 필요에 따라 빈도와 기간을 조정할 수 있다.
주의: 백로그 개선을 처음 수행하거나 새로운 주기로 변경하는 경우 일정을 팀 구성원에게 알려야 한다.
모든 것이 항상 완벽하게 진행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잊지 마라. 급변하는 비즈니스 환경에서 변화는 불가피하다. 의견 불일치나 갈등은 나타나기 마련이고, 잘 극복해야 한다.
다음은 스크럼 마스터가 직면할 있는 어려움과 극복 방안이다.